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소아 뇌수막염
- 소아 발열
- 영어공부
- 소아 발작
- enterovirus
- 굿닥터
- 소아 폐렴
- appendictis
- RDS
- 견인 간호
- 미드
- angina
- 영어 공부
- buck's tracgtion
- 경련
- 세균성 퍠렴
- 바이러스 폐렴
- 오블완
- NCLEX
- 간호사
- 성인 간호
- 간호
- 소아 해열제
- 소아 경련
- nrds
- 공부
- 독서
- donepezil
- 티스토리챌린지
- 설사
- Today
- Total
공부하는 간호사의 공간S2
산소요법 - airvo,ventilator (정의,용어,모드 종류) 본문
산소 투여법
저유량법에서 흡입하는 공기의 산소 농도는 산소 공급 장치에서 나오는 산소와 실내 공기의 혼합 가스로 이뤄진다.
FiO2는 장치로부터 나오는 산소와 실내 공기의 구성 비율에 의해 결정된다.
환자의 호흡에 따라 FiO2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으나,간편하고 비용이 적게 든다.
고유량법은 산소 유입이 환자의 요구량만큼 충분히 주어지는 경우. 환자의 호흡 양상에 관계없이 정확한 FiO2를 조절할 수 있고 온도와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airvo>
1. 정의
교유량체계의 산소요법. 일정한 FiO2(흡입 산소 분율)를 유지하기 위해 nasal, mask보다 빠른 유속으로 공급.
2. 조정
-enter 기능이 있는 화살표 버튼으로 화면을 L/min 화면으로 넘긴 뒤에 위아래 화살표 버튼 동시에 2초 누르기
-잠금해제 되면 위아래 버튼으로 설정 하고 엔터 버튼
-고유량으로 산소 공급되면서 호기(expiratory flow)에 저항을 주고 airway pressure가 증가하게 되면서 PEEP와 같이 pressure effect가 생긴다. (환자 호흡에 따라 air leak 정도가 다르므로 완전한 peep effect는 기대x)
-그렇다면 nasal(저유량) 과의 차이점은 뭘까... 왜 똑같이 산소 들어가는데 airvo는 정확한 FiO2를 줄 수 있는거지?
답>> 저유량으로 흡입하는 산소는 산소공급장치(wall O2,O2 tank)에서 나오는 산소와 실내 산소 혼합이어서 FiO2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다. 그리고 flow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환자의 호흡이 영향을 크게 미친다. 하지만 HFNC(=airvo)는 high flow여서 산소 유입이 충분하기 때문에 정확한 Fio2로 줄 수 있다.!!
FiO2: 흡입산소농도. 호흡을 통해 들이마시는 기체에서 산소가 차지하는 비율
자연 상태 공기에는 21%(=FiO2 0.21)
FLOW: 산소의 세기. 유량
유량계 입구에서 나오는 산소는 FiO2 100%!! flow에 따라 Fio2수치가 변동된다.
3. 주의사항
입으로 숨 쉬지 말고, 되도록 코로 숨을 쉬도록 한다.
일반적인 사람이 숨을 쉴 때 코로 들이마셔서 폐로 공기가 도달하는 최대흡기속도는 20~30L/min 이다.
*30(최대흡기속도) X 21(FiO2) = 630% (1분동안 숨쉴떄 공급받는 산소)
-> 630 ÷ 30(최대흡기속도) =21% (1분동안 평균 FiO2)
*MASK로 산소 5L 공급받고 있다면
(100% X 5L) + (21%X 25L) = 1025%
이를 최대흡기속도 30으로 나누면 34.1% 즉 1분동안 공급받는 평균 FiO2!
VENT(ventilator)
1. 정의
환자 환기 기능이 저하되어 가스교환이 안될 때 인위적으로 폐포에 산소 불어넣어주는 장치.
2. 용어
P(peak pressure): 최대기도압.
PEEP: 호기말 양압(폐포가 쪼그라들지 않게 적절하게 압력을 주는 방법)
I:E ratio: 흡기와 호기의 비율. 보통 setting 값은 1:2. COPD같이 PCO2정체 소견 보이는 경우 1:3
f(tot):호흡수, ventilator통해 쉬는 호흡수+자가호흡
V(te): tidal volume, 1회 호흡량 (권장: 6~8ml/kg)
Ve(tot): 분당 호기량. 1분동안 전달되는 공기의 총량
3. setting값
TV: tidal volume, 환자의 폐로 전달되는 가스 용량
Vmax: peak flow
Pi: inspiratory pressure.
Ti: inspiratory time, PCV의 흡기 시간
PS: 환자가 자발호흡 하는 동안 기계가 환자에게 보조해주는 압력의 양(pressure support)
PC: 기계호흡 시 기계가 환자에게 주는 압력의 양
4. 모드 종류
1) ACMV
-기계가 환자의 호흡을 100% 조절.(자발호흡 있는 환자의 경우 fighting 있을 수 있다.)
->VCV: 정해진 호흡마다 일정한 양의 volume을 준다.
setting값: FiO2,RR,TV,PEEP,I:E ratio
monitoring: 환자 self RR, TV, PIP(peak pressure)
->PCV: 정해진 호흡마다 일정한 pressure을 준다.
setting 값: FIO2,RR,Pi,Ti,PEEP,I:E ratio
monitoring: 환자의 self RR과, TV,PIP
2) SIMV
-기계호흡+자발호흡, 자발호흡 사이에 강제적으로 기계가 주입
-강제 호흡일 때는 설정된 pressure만큼 들어감. 자발호흡일 때는 설정된 PS 만큼 도와줌.
-fighting위험성을 보완. 호흡근육 훈련 가능
-setting 값: FIO2,RR,IP,IT(insprtation time),PEEP I:E ratio,PSV
monitoring: 환자의 self RR,TV,PIP
->*PS above PEEP: 기계유발환기 외에 환자가 숨을 쉬려고 할 때 준다. 이렇게 supported breath를 안걸어주면 기계가 도와주다가 하나도 안도와주는 CPAP와 SIMV를 오가게 되어서 꼭 pressure support를 걸어준다.
*breath cycle: 4초의 정도 시간동안 환자가 숨쉬길 기다려 준다. 환자가 숨을 안쉬면 time trigger 발생해서 숨을 불어넣는다.
3) S mode
-triggeing은 환자만 조절가능하며 호흡유발 또한 환자만 조절가능하다.
-자발 호흡 없는 환자에게 적용할 수 없음.
->PSV: 자발호흡 100%, 환자의 자발호흡에 맞춰서 압력만 넣어준다.
setting 값: FIO2, PEEP,PSV
monitoring: 환자의 self RR과 TV,PIP(peak pressure)
->*PSV mode
*이 mode에서 중요한 설정은 backup ventilation의 apnea time. 15초 동안 self 호흡이 없으면 백업모드인
SIMV 모드로 돌아가고 self RR이 생기면 다시 PSV모드로 돌아온다.
->CPAP: PS mode에서 P-support값을 0으로 설정하는 경우.
-환자의 자발 호흡을 허용하면서 기도압을 대기압보다 높게 유지.
-흡기 호기 상관없이 설정된 압력을 제공
-흡기 유발(triggering)과 호기 전환이 환자에 의해 이뤄진다.
-수면 무호흡 환자에게 주로 사용
-지속적 기도양압을 조절한다. CPAP값과 SpO2값이 변수!(조절 4-20cmH2O)
4) CMV(강제환기: continuous Mandatory Ventilation)
-VC-CMV: volume, flow, pressure, time(부피, 흐름을 설정하고 압력(PIP),시간(TI)을 변수로 모니터)
-PC-CMV: trigger, limit, cycle(압력, 시간을 설정하고 부피. 흐름을 변수로 모니터링)
->설정값:RR, Fio2,PEEP,I:E ratio,
*VC는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 안되지만 PC는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돼서 평균 기도압이 유지된다.
*ICU에서는 trauma 예방과 기도압유지로 폐포를 오래펴주기 위해 PC를 선호하지만, 마취과나 OR에서는 전신마취로 인공호흡기를 처음 걸게 되면 VC에서 PC보다 적은 pressure로 volume이 나와서 VC를 선호한다.\
5) ACV모드
*CMV 모드의 최신 모드
*SIMV mode 와 공통점: RR, tidal volume preset
차이점: acv는 환자의 숨을 허용하면서 숨이 tidal volume이 되게 support한다.
5. 심화
trigger: 인공호흡기가 후흡을 시작하도록 해주는 것
환자 유발 trigger: 환자가 숨을 쉬려는 요구(횡격막의 움직임으로 인한 기도압의 변화 catch)
time trigger: 인공호흡기가 정해진 시간에 유발되어 호흡 시작.
--> time trigger의 유무의 차이가 AC, SIMV, PSV를 나뉜다.
AC: time trigger로 정해진 RR을 시간에 맞춰 불어넣어준다.(환자가 유발했을때도 불어 넣기는 한다.)
SIMV: 환자유발 trigger에 맞춰서 호흡을 불어넣지만, 정해진 시간안에 환자의 호흡이 없는 경우 time trigger로 호흡을 불어넣어준다.
PSV: 환자유발 trigger로만 호흡이 시작한다.(최소 RR설정해 apnea 지속되는 경우 자동 SIME로 변경)
'소아과 공부 > CV'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모넬라균 감염,장티푸스] 감염 원인, 증상, 치료방법, 격리 여부 (6) | 2024.03.14 |
---|---|
[임균 감염,임질, Gonococcal infection] 임질의 원인과 증상,치료 (3) | 2024.03.13 |
[폐렴사슬알균,Pneumococcus] (2) | 2024.01.15 |
[연쇄상구균,Streptococcus]-B군 (2) | 2024.01.11 |
[연쇄상구균, Streptococcus]-A군 (3) | 2024.01.10 |